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Django] Django project folder layout structure

source: http://tian-yi.me/django-project-folder-layout-structure.html

Django project folder layout structure

Sun 24 February 2013
By Tianyi
I have failed to find much mention about project folder layout structure in Django's documentation. From the tutorial on the official Django site, it points out that a project should have the following structure:
    myproject
    |-- manage.py
    |-- myproject
    |   |-- __init__.py
    |   |-- settings.py
    |   |-- urls.py
    |   `-- wsgi.py
    `-- app_one
    |   |-- __init__.py
    |   |-- models.py
    |   |-- views.py
    |   `-- urls.py
    `-- app_two
        |-- __init__.py
        |-- models.py
        |-- views.py
        `-- urls.py

Static files

Ok, this looks pretty good, but where should I place my static files? In the documentation, it says using thecollectstatic management command to gather all the static files from your static file storage and copy them into the directory given by STATIC_ROOT. It sounds super easy, doesn't it? So I placed all my static files in a folder calledstatic within each app, then I ran the collectstatic command, Django did put all the static files into theSTATIC_ROOT folder, but it did not create folder for each app, instead, it mixed all the static files. So I did a bit research, found out that I needed to create another folder in the static folder within each app(e.g.,static/app_one), it can be called whatever you like, just it would be easier to name it the same as your app's name. Then I ran the collectstatic command again, all the static files had been placed in its app folder in theSTATIC_ROOT folder. Maybe it was just me being dumb, I should have thought about this, but if you do a bit googling, you will see this actually confuses many Django novices. Anyway, now it all looks good, but what if there are some common static files in each app? Like jQuery and such? I created a folder calledcommon_static/common in the project folder, and place all the common static files in it, so it will create acommon folder in the STATIC_ROOT folder. By default, collectstatic command will look for files within static/subdirectories of apps in your INSTALLED_APPS. But the common_static/common is not in any apps, so we need to add it to STATICFILES_DIRS in settings.py.
Like this:
    from os.path import dirname, join

    STATICFILES_DIRS = (
        join(dirname(dirname(__file__)), "common_static"),
    )
So when you need to reference the static file, you can use {{ STATIC_URL }} in the Django template. For example, if I need a file called app_one.js in app_one, I can reference it in my template like {{ STATIC_URL }}app_one/app_one.js. So this way you will never need to worry about relative path or absolute path when you reference your static files. There is one more problem though, do I need to run collectstatic command every time I modify a file in development? The answer is no, there is a trick you can use during development. First, set the variable DEBUG insettings.py to True, then in your main urls.py add something like this:
    from django.contrib.staticfiles.urls import staticfiles_urlpatterns

    if settings.DEBUG:
        urlpatterns += staticfiles_urlpatterns()
So you do not need to run collectstatic during development, Django knows where to look for those files. But you need to remember to change DEBUG to False when you deploy your project, and run collectstatic as well. Then make your Apache or Nginx to server the STATIC_ROOT folder.

Template files

Now, let's have a look at how we should structure our template folders. Same as for static files, Django by default will look for template files within template/ subdirectories of app in your INSTALLED_APPS. You do not need to run something like collectstatic or such, Django will go through each folder to find the template you required. In a way, it's like Django putting all the files from each template folder into one folder. So there will be conflict if you have some templates from different apps having same names. We can create a folder structure to avoid this. It's similar to the folder structure for the static files. We need to create another folder inside the template folder in each app. It's like what we did for static files, we should name the folder the same name as the app. For example:app_one/template/app_one/. Normally you would want all the different components on the site using the same theme, therefore some common templates need to be shared between different apps. I had this base.html need to be inherited by other pages on the site, so I placed this file into a main project template folder. Because this template folder is not in any apps, so we need to put its path in to TEMPLATE_DIRS in settings.py. In the views, when you need refer to a certain template, you can do something like this:
Need a template from app_one:
    loader.get_template('app_one/index.html')
Need a template from app_two:
    loader.get_template('app_two/index.html')
Need a project base template:
    loader.get_template('base.html')
TEMPLATE_DIRS example:
    from os.path import dirname, join

    TEMPLATE_DIRS = (
        join(dirname(dirname(__file__)), "templates"),
    )
So after all the changes, a proper Django project folder structure should look like this:
    myproject
    |-- manage.py
    |-- static
    |-- templates
    |-- common_static/common/
    |-- myproject
    |   |-- __init__.py
    |   |-- settings.py
    |   |-- urls.py
    |   `-- wsgi.py
    `-- app_one
    |   |-- __init__.py
    |   |-- models.py
    |   |-- views.py
    |   |-- urls.py
    |   |-- static/app_one/
    |   `-- templates/app_one/
    `-- app_two
        |-- __init__.py
        |-- models.py
        |-- views.py
        |-- urls.py
        |-- static/app_two/
        `-- templates/app_two/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ux] 뻔하지 않은 파일 퍼미션(file permissions) 끄적임. 정말 속속들이 아니?

1. [특수w]내 명의의 디렉토리라면 제아무리 루트가 만든 파일에 rwxrwxrwx 퍼미션이라 할지라도 맘대로 지울 수 있다. 즉 내 폴더안의 파일은 뭐든 지울 수 있다. 2. [일반rx]하지만 읽기와 쓰기는 other의 권한을 따른다. 3.[일반rwx]단 남의 계정 폴더는 그 폴더의 퍼미션을 따른다. 4.[일반]만약 굳이 sudo로 내 소유로 파일을 넣어놓더라도 달라지는건 없고, 단지 그 폴더의 other퍼미션에 write권한이 있으면 파일을 만들고 삭제할 수 있다. 5.디렉토리의 r권한은 내부의 파일이름 정도만 볼 수있다. 하지만 ls 명령의 경우 소유자, 그룹, 파일크기 등의 정보를 보는 명령어므로 정상적인 실행은 불가능하고, 부분적으로 실행됨. frank@localhost:/export/frankdir$ ls rootdir/ ls: cannot access rootdir/root: 허가 거부 ls: cannot access rootdir/fa: 허가 거부 fa  root #이처럼 속한 파일(폴더)만 딸랑 보여준다. frank@localhost:/export/frankdir$ ls -al rootdir/ # al옵션이 모두 물음표 처리된다.. ls: cannot access rootdir/root: 허가 거부 ls: cannot access rootdir/..: 허가 거부 ls: cannot access rootdir/.: 허가 거부 ls: cannot access rootdir/fa: 허가 거부 합계 0 d????????? ? ? ? ?             ? . d????????? ? ? ? ?             ? .. -????????? ? ? ? ?             ? fa -????????? ? ? ? ?             ? root 하지만 웃긴건, r에는 읽기 기능이 가능하므로 그 폴더 안으로 cd가 되는 x권한이 없더라도 어떤 파일이 있는지 목록 정도는 알 수 있다. 하지만 r이라고

[인코딩] MS949부터 유니코드까지

UHC = Unified Hangul Code = 통합형 한글 코드 = ks_c_5601-1987 이는 MS사가 기존 한글 2,350자밖에 지원하지 않던 KS X 1001이라는 한국 산업 표준 문자세트를 확장해 만든 것으로, 원래 문자세트의 기존 내용은 보존한 상태로 앞뒤에 부족한 부분을 채워넣었다. (따라서 KS X 1001에 대한 하위 호환성을 가짐) 그럼, cp949는 무엇일까? cp949는 본래 코드 페이지(code page)라는 뜻이라 문자세트라 생각하기 십상이지만, 실제로는 인코딩 방식이다. 즉, MS사가 만든 "확장 완성형 한글 ( 공식명칭 ks_c_5601-1987 ) "이라는 문자세트를 인코딩하는 MS사 만의 방식인 셈이다. cp949 인코딩은 표준 인코딩이 아니라, 인터넷 상의 문자 송수신에 사용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확장 완성형 한글" 자체가 "완성형 한글"에 대한 하위 호환성을 고려해 고안됐듯, cp949는 euc-kr에 대해 (하위) 호환성을 가진다. 즉 cp949는 euc-kr을 포괄한다. 따라서, 윈도우즈에서 작성되어 cp949로 인코딩 되어있는 한글 문서들(txt, jsp 등등)은 사실, euc-kr 인코딩 방식으로 인터넷 전송이 가능하다. 아니, euc-kr로 전송해야만 한다.(UTF-8 인코딩도 있는데 이것은 엄밀히 말해서 한국어 인코딩은 아니고 전세계의 모든 문자들을 한꺼번에 인코딩하는 것이므로 euc-kr이 한국어 문자세트를 인코딩할 수 있는 유일한 방식임은 변하지 않는 사실이다.) 물론 이를 받아보는 사람도 euc-kr로 디코딩을 해야만 문자가 깨지지 않을 것이다. KS X 1001을 인코딩하는 표준 방식은 euc-kr이며 인터넷 상에서 사용 가능하며, 또한 인터넷상에서 문자를 송수신할때만 사용.(로컬하드에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인코딩방식으로는 쓰이지 않는 듯하나, *nix계열의 운영체제에서는 LANG을 euc-kr로 설정 가능하기도 한걸

[hooking, 후킹, 훅킹] Hooking이란?

source: http://jinhokwon.blogspot.kr/2013/01/hooking.html Hooking 이란? [출처] http://blog.daum.net/guyya/2444691 훅킹(Hooking)이란 이미 작성되어 있는 코드의 특정 지점을 가로채서 동작 방식에 변화를 주는 일체의 기술 이다. 훅이란 낚시바늘같은 갈고리 모양을 가지는데 여기서는 코드의 중간 부분을 낚아채는 도구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대상 코드의 소스를 수정하지 않고 원하는 동작을 하도록 해야 하므로 기술적으로 어렵기도 하고 운영체제의 통상적인 실행 흐름을 조작해야 하므로 때로는 위험하기도 하다. 훅킹을 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과거 도스 시절에 흔히 사용하던 인터럽터 가로채기 기법이나 바로 앞에서 알아본 서브클래싱도 훅킹 기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리 약속된 레지스트리 위치에 훅 DLL의 이름을 적어 주거나 BHO(Browser Helper Object)나 응용 프로그램 고유의 추가 DLL(Add in)을 등록하는 간단한 방법도 있고 PE 파일의 임포트 함수 테이블을 자신의 함수로 변경하기, CreateRemoteThread 함수로 다른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에 DLL을 주입(Injection)하는 방법, 메모리의 표준 함수 주소를 덮어 쓰는 꽤 어려운 방법들도 있다. 이런 고급 훅킹 기술은 이 책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여기서는 소개만 하고 다루지는 않기로 한다. 이 절에서 알아볼 메시지 훅은 윈도우로 전달되는 메시지를 가로채는 기법으로 다양한 훅킹 방법중의 하나이다. 메시지 기반의 윈도우즈에서는 운영체제와 응용 프로그램, 또는 응용 프로그램 사이나 응용 프로그램 내부의 컨트롤끼리도 많은 메시지들을 주고 받는다. 훅(Hook)이란 메시지가 목표 윈도우로 전달되기 전에 메시지를 가로채는 특수한 프로시저이다. 오고 가는 메시지를 감시하기 위한 일종의 덫(Trap)인 셈인데 일단 응용 프로그램이 훅 프로시저를 설치하면 메시지가 윈도우로 보내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