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html, css] What Are They and Why You Should Use Them - CSS Vendor Prefixes

source: http://webdesign.about.com/od/css/a/css-vendor-prefixes.htm

CSS vendor prefixes or CSS browser prefixes are a way for browser makers to add support fornew CSS features in a sort of testing and experimentation period. Browser prefixes are used to add new features that may not be part of a formal specification and to implement features in a specification that hasn’t been finalized.
The CSS browser prefixes are:
  • Android: -webkit-
  • Chrome: -webkit-
  • Firefox: -moz-
  • Internet Explorer: -ms-
  • iOS: -webkit-
  • Opera: -o-
  • Safari: -webkit-
In most cases, to use a more advanced CSS style property, you take the standard CSS property and add the prefix above for each browser. For example, if you want to add a CSS3 transition to your document, you would use the transition property with the prefixes listed first:
-webkit-transition: all 4s ease;
-moz-transition: all 4s ease;
-ms-transition: all 4s ease;
-o-transition: all 4s ease;
transition: all 4s ease;
Note: don’t assume that the browser-prefixed version of a property is exactly the same as the standard property. For example, to create a CSS gradient, you use the linear-gradient property. Firefox, Opera, and modern versions of Chrome and Safari use that property with the appropriate prefix. But early versions of Chrome and Safari use the prefixed property -webkit-gradient. Also, Firefox uses different values than the standards.

Vendor Prefixes are Not a Hack

A CSS hack exploits flaws in the implementation of another element or property in order to get another property to work correctly.
For example, the box model hack exploits flaws in the parsing of the voice-family property or in how browsers parse back-slashes (\). But these hacks are used to fix the problem of the difference between how Internet Explorer 5.5 handled the box model and how Netscape interpreted it, and have nothing to do with the voice family style.
A vendor prefix isn’t a hack because it allows the specification to set up rules for how a property might be implemented, while at the same time allowing browser makers to implement a property in a different way without breaking everything else.
They also allow browser makers to create new features in their browsers before the specification has caught up. They can use the prefixes to state that these properties are “in progress.”
Instead of being a hack, vendor prefixes are a proactive approach to prevent problems before they happen.

Vendor Prefixes are Annoying But Temporary

When you use browser prefixes with the standard prefix listed last, you are setting your web pages up to be future proofed. Browsers that use the prefixes will use them and ignore the properties they don’t understand. Browsers that can support the standards based properties will implement them because they are listed last in your style sheet.
Yes, might feel annoying and repetitive to have to write the properties 2–5 times to get it to work in all browsers, but it’s temporary. As browsers improve, they add support for the standards based version of the property, and you can remove the prefixed versions. For example, just a few years ago, to set a rounded corner on a box you had to write:
-moz-border-radius: 10px 5px;
-webkit-border-top-left-radius: 10px;
-webkit-border-top-right-radius: 5px;
-webkit-border-bottom-right-radius: 10px;
-webkit-border-bottom-left-radius: 5px;
border-radius: 10px 5px;
But now you really only need the standards version:
border-radius: 10px 5px;
Chrome has supported the CSS3 property since version 5.0, Firefox added it in version 4.0, Safari added it in 5.0, Opera in 10.5, iOS in 4.0, and Android in 2.1. Even Internet Explorer 9 supports it without a prefix (and IE 8 and lower didn’t support it with or without prefixes).
Remember that browsers are always going to be changing and some type of hack will be required unless you’re planning on building web pages that are years behind the most modern methods. And writing browser prefixes is much easier than finding and exploiting errors that will most likely be fixed in a future version, requiring that you find another error to exploit and so on.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inux] 뻔하지 않은 파일 퍼미션(file permissions) 끄적임. 정말 속속들이 아니?

1. [특수w]내 명의의 디렉토리라면 제아무리 루트가 만든 파일에 rwxrwxrwx 퍼미션이라 할지라도 맘대로 지울 수 있다. 즉 내 폴더안의 파일은 뭐든 지울 수 있다. 2. [일반rx]하지만 읽기와 쓰기는 other의 권한을 따른다. 3.[일반rwx]단 남의 계정 폴더는 그 폴더의 퍼미션을 따른다. 4.[일반]만약 굳이 sudo로 내 소유로 파일을 넣어놓더라도 달라지는건 없고, 단지 그 폴더의 other퍼미션에 write권한이 있으면 파일을 만들고 삭제할 수 있다. 5.디렉토리의 r권한은 내부의 파일이름 정도만 볼 수있다. 하지만 ls 명령의 경우 소유자, 그룹, 파일크기 등의 정보를 보는 명령어므로 정상적인 실행은 불가능하고, 부분적으로 실행됨. frank@localhost:/export/frankdir$ ls rootdir/ ls: cannot access rootdir/root: 허가 거부 ls: cannot access rootdir/fa: 허가 거부 fa  root #이처럼 속한 파일(폴더)만 딸랑 보여준다. frank@localhost:/export/frankdir$ ls -al rootdir/ # al옵션이 모두 물음표 처리된다.. ls: cannot access rootdir/root: 허가 거부 ls: cannot access rootdir/..: 허가 거부 ls: cannot access rootdir/.: 허가 거부 ls: cannot access rootdir/fa: 허가 거부 합계 0 d????????? ? ? ? ?             ? . d????????? ? ? ? ?             ? .. -????????? ? ? ? ?             ? fa -????????? ? ? ? ?             ? root 하지만 웃긴건, r에는 읽기 기능이 가능하므로 그 폴더 안으로 cd가 되는 x권한이 없더라도 어떤 파일이 있는지 목록 정도는 알 수 있다. 하지만 r이라고

[인코딩] MS949부터 유니코드까지

UHC = Unified Hangul Code = 통합형 한글 코드 = ks_c_5601-1987 이는 MS사가 기존 한글 2,350자밖에 지원하지 않던 KS X 1001이라는 한국 산업 표준 문자세트를 확장해 만든 것으로, 원래 문자세트의 기존 내용은 보존한 상태로 앞뒤에 부족한 부분을 채워넣었다. (따라서 KS X 1001에 대한 하위 호환성을 가짐) 그럼, cp949는 무엇일까? cp949는 본래 코드 페이지(code page)라는 뜻이라 문자세트라 생각하기 십상이지만, 실제로는 인코딩 방식이다. 즉, MS사가 만든 "확장 완성형 한글 ( 공식명칭 ks_c_5601-1987 ) "이라는 문자세트를 인코딩하는 MS사 만의 방식인 셈이다. cp949 인코딩은 표준 인코딩이 아니라, 인터넷 상의 문자 송수신에 사용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확장 완성형 한글" 자체가 "완성형 한글"에 대한 하위 호환성을 고려해 고안됐듯, cp949는 euc-kr에 대해 (하위) 호환성을 가진다. 즉 cp949는 euc-kr을 포괄한다. 따라서, 윈도우즈에서 작성되어 cp949로 인코딩 되어있는 한글 문서들(txt, jsp 등등)은 사실, euc-kr 인코딩 방식으로 인터넷 전송이 가능하다. 아니, euc-kr로 전송해야만 한다.(UTF-8 인코딩도 있는데 이것은 엄밀히 말해서 한국어 인코딩은 아니고 전세계의 모든 문자들을 한꺼번에 인코딩하는 것이므로 euc-kr이 한국어 문자세트를 인코딩할 수 있는 유일한 방식임은 변하지 않는 사실이다.) 물론 이를 받아보는 사람도 euc-kr로 디코딩을 해야만 문자가 깨지지 않을 것이다. KS X 1001을 인코딩하는 표준 방식은 euc-kr이며 인터넷 상에서 사용 가능하며, 또한 인터넷상에서 문자를 송수신할때만 사용.(로컬하드에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인코딩방식으로는 쓰이지 않는 듯하나, *nix계열의 운영체제에서는 LANG을 euc-kr로 설정 가능하기도 한걸

[hooking, 후킹, 훅킹] Hooking이란?

source: http://jinhokwon.blogspot.kr/2013/01/hooking.html Hooking 이란? [출처] http://blog.daum.net/guyya/2444691 훅킹(Hooking)이란 이미 작성되어 있는 코드의 특정 지점을 가로채서 동작 방식에 변화를 주는 일체의 기술 이다. 훅이란 낚시바늘같은 갈고리 모양을 가지는데 여기서는 코드의 중간 부분을 낚아채는 도구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대상 코드의 소스를 수정하지 않고 원하는 동작을 하도록 해야 하므로 기술적으로 어렵기도 하고 운영체제의 통상적인 실행 흐름을 조작해야 하므로 때로는 위험하기도 하다. 훅킹을 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과거 도스 시절에 흔히 사용하던 인터럽터 가로채기 기법이나 바로 앞에서 알아본 서브클래싱도 훅킹 기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리 약속된 레지스트리 위치에 훅 DLL의 이름을 적어 주거나 BHO(Browser Helper Object)나 응용 프로그램 고유의 추가 DLL(Add in)을 등록하는 간단한 방법도 있고 PE 파일의 임포트 함수 테이블을 자신의 함수로 변경하기, CreateRemoteThread 함수로 다른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에 DLL을 주입(Injection)하는 방법, 메모리의 표준 함수 주소를 덮어 쓰는 꽤 어려운 방법들도 있다. 이런 고급 훅킹 기술은 이 책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여기서는 소개만 하고 다루지는 않기로 한다. 이 절에서 알아볼 메시지 훅은 윈도우로 전달되는 메시지를 가로채는 기법으로 다양한 훅킹 방법중의 하나이다. 메시지 기반의 윈도우즈에서는 운영체제와 응용 프로그램, 또는 응용 프로그램 사이나 응용 프로그램 내부의 컨트롤끼리도 많은 메시지들을 주고 받는다. 훅(Hook)이란 메시지가 목표 윈도우로 전달되기 전에 메시지를 가로채는 특수한 프로시저이다. 오고 가는 메시지를 감시하기 위한 일종의 덫(Trap)인 셈인데 일단 응용 프로그램이 훅 프로시저를 설치하면 메시지가 윈도우로 보내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