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8.20 대한민국 평범한 청년들의 눈으로 보자면 저는 소위 인재입니다. 잘나가는 대기업은 저와 같은 부류를 반깁니다. 반대로 중소기업은 저를 부담스러워 합니다. 스타트업은 함께 일해보자며 열렬한 러브콜을 보내옵니다. 누군가에겐 배부른 소리로 들리겠지만 저는 좀 다르게 살아보고 싶었습니다. 몇년전 잘다니던 회사를 관두고 나와 홀로서기를 시도했었습니다. 2년간의 시행착오 끝에 결국 먹고는 살아야 하니 다시 취직을 했습니다. 적성에는 맞는 일을 하게돼 기쁘지만 마음은 종종 '꿈을 이룰 수 있을까' 싶어 헛헛 하기도 합니다. 제가 보는 현재로서의 저는 덩쿨과 같은 사람입니다. 오르고 싶어도 기댈 나무가 없으면 방편이 마땅치 않습니다. 한편, 이미 기반을 갖춘 회사는 나무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와 같은 평범한 인재들은 이 나무와 붙을지 저 나무로 할지 꼼꼼히 고릅니다. 누군가에겐 부럽고 멋져보이는 일이겠지만, 제가 느끼기엔 그래봤자 자생이 어려운 덩쿨살이일 뿐입니다. 덩쿨이 잘못됐다는건 아닙니다. 다만 나는 나무이고 싶습니다. 하지만 실패해 봤습니다. 또 다른 실패가 두려워 망설이는건 아닙니다. 다만 특별히 다른 통찰을 얻지 못한채 5년이 다되어 가니 몸둘 바를 모를 뿐입니다. 그런데 이따위 고민도 계속하다보니 명확하게 보이는게 하나 생겼습니다.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지만 이대로는 안된다는건 알겠다" 막막함 끝에 얻은 저 문장 하나가 제겐 두번째 출반선이 될것 같습니다. 홀로 고민해봤자 나오는게 없으니 남들이 한 말을 들어봐야 겠단 생각이 듭니다. 책이 급작스럽게 궁해집니다. 책을 읽어도 오랫동안 남는건 없었던 과거 경험에 비추어보니 읽는 태도를 확실히 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어떤 책을 읽고자 한다면, 읽기전에 내가 얻고자 하는 물음을 먼저 생각해 기준으로 삼으려 합니다. 그리고 구한 답을 실천하려 합니다. '실천독서'라는 책에선 파레토의 법칙을 언급합니다. "중요한 20%가 전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