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python] @staticmethod, @classmethod

source:

Maybe a bit of example code will help: Notice the difference in the call signatures of fooclass_foo and static_foo:
class A(object):
    def foo(self,x):
        print "executing foo(%s,%s)"%(self,x)

    @classmethod
    def class_foo(cls,x):
        print "executing class_foo(%s,%s)"%(cls,x)

    @staticmethod
    def static_foo(x):
        print "executing static_foo(%s)"%x    

a=A()
Below is the usual way an object instance calls a method. The object instance, a, is implicitly passed as the first argument.
a.foo(1)
# executing foo(<__main__.A object at 0xb7dbef0c>,1)

With classmethods, the class of the object instance is implicitly passed as the first argument instead of self.
a.class_foo(1)
# executing class_foo(<class '__main__.A'>,1)
You can also call class_foo using the class. In fact, if you define something to be a classmethod, it is probably because you intend to call it from the class rather than from a class instance. A.foo(1) would have raised a TypeError, but A.class_foo(1) works just fine:
A.class_foo(1)
# executing class_foo(<class '__main__.A'>,1)
One use people have found for class methods is to create inheritable alternative constructors.(see far below for an example)

With staticmethods, neither self (the object instance) nor cls (the class) is implicitly passed as the first argument. They behave like plain functions except that you can call them from an instance or the class:
a.static_foo(1)
# executing static_foo(1)

A.static_foo('hi')
# executing static_foo(hi)
Staticmethods are used to group functions which have some logical connection with a class to the class.

foo is just a function, but when you call a.foo you don't just get the function, you get a "curried" version of the function with the object instance a bound as the first argument to the function. foo expects 2 arguments, while a.foo only expects 1 argument.
a is bound to foo. That is what is meant by the term "bound" below:
print(a.foo)
# <bound method A.foo of <__main__.A object at 0xb7d52f0c>>
With a.class_fooa is not bound to class_foo, rather the class A is bound to class_foo.
print(a.class_foo)
# <bound method type.class_foo of <class '__main__.A'>>
Here, with a staticmethod, even though it is a method, a.static_foo just returns a good 'ole function with no arguments bound. static_foo expects 1 argument, and a.static_foo expects 1 argument too.
print(a.static_foo)
# <function static_foo at 0xb7d479cc>
9
I don't understand what's the catch for using staticmethod. we can just use a simple outside-of-class function. – Alcott Sep 19 '11 at 3:08
27
@Alcott: You might want to move a function into a class because it logically belongs with the class. In the Python source code (e.g. multiprocessing,turtle,dist-packages), it is used to "hide" single-underscore "private" functions from the module namespace. Its use, though, is highly concentrated in just a few modules -- perhaps an indication that it is mainly a stylistic thing. Though I could not find any example of this, @staticmethod might help organize your code by being overridable by subclasses. Without it you'd have variants of the function floating around in the module namespace. –  unutbu Sep 19 '11 at 10:34
12
@Alcott: as unutbu said, static methods are an organization/stylistic feature. Sometimes a module have many classes, and some helper functions are logically tied to a a given class and not to the others, so it makes sense not to "pollute" the module with many "free functions", and it is better to use a static method than relying on the poor style of mixing classes and function defs together in code just to show they are "related" –  MestreLion May 3 '12 at 9:55
4
@unutbu: You should however delete that Guido quote: It was from an early draft of python 2.2 release notes, and it was changed in 2.2.3 to: However, class methods are still useful in other places, for example, to program inheritable alternate constructors. Even the original quote is very misleading, as he only said that the python distribuition does not use classmethod. But just because python itself don't use a given feature, it doesn't mean it's a useless feature. Think about complex numbers or evensqrt: python itself may not use either, but it's far from being useless to offer –  MestreLion May 3 '12 at 10:44
13
I feel like this is a better answer than the accepted one. –  Rock Feb 26 '13 at 5:37


-----------------------------------------------------------------------------------------------------------------
source:

You can't have two constructors in one class.
Constructors have to be named __init__. And, unlike Java, Python doesn't allow overloading functions or methods by the type of their arguments. So, if you had two constructors, they would both be the same function.
There are a few ways around this.

Use @classmethods as alternate constructors:
class Breakfast(object):
    @classmethod
    def from_eggs(cls, eggs):
        obj = cls()
        obj.spam, obj.eggs = 5, eggs
        return obj

    @classmethod
    def from_spam_and_eggs(cls, spam, eggs):
        obj = cls()
        obj.spam, obj.eggs = spam, eggs
        return obj
A simple example from the standard library is datetime.datetime, which can be constructed with nowfromtimestamp, or a few other alternate constructors, besides the default.

Use default-valued, keyword-only, and/or variable-argument parameters to make a single constructor that can be called different ways:
class Breakfast(object):
    def __init__(self, eggs=0, spam=5):
        self.spam, self.eggs = spam, eggs
int is an example of this: You can create it from a string and a base, or from a single argument that knows how to convert itself to an integer.

Create subclasses that each have different constructors:
class Breakfast(object):
    pass

class HealthyBreakfast(Breakfast):    def __init__(self, spam):
        self.spam, self.eggs = spam, 0

class NormalBreakfast(Breakfast):    def __init__(self, spam, eggs):
        self.spam, self.eggs = spam, eggs

In any of these cases, you can factor out commonalities into a single "base" initializer. For example:
class Breakfast(object):
    def __init__(self, eggs, spam):
        self.spam, self.eggs = spam, eggs

class HealthyBreakfast(Breakfast):    def __init__(self, spam):
        super(HealthyBreakfast, self).__init__(0, spam)

Of course in no case is it possible to have breakfast without spam.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맞춤법] 안돼(o) vs 안되(x); 안돼요(o) 안되요(x); 안되지(o) vs 안돼지(x);

source:  http://k.daum.net/qna/view.html?qid=0FKVD&l_cid=Q&l_st=1 쉽게 구분하는 방법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안돼요는 안되어요가 줄어든 말입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당신이 그러면 안되지. 당신이 그러면 안돼지.   첫번째 문장이 맞고 두번째 문장이 틀립니다. 두번째 문장을 '당신이 그러면 안되어지'로 바꾸면 말이 이상하지요. '안돼지'로 쓸 수 있는 것은 '안되어지'로 쓸 수 있는 것입니다.   요즘 사업이 잘 안(돼서 되서) 죄송합니다. '돼서'와 '되서' 가운데 어떤 것이 맞을까요? 사업이 잘 '안되어서'가 말이 되니까 '안돼서'가 맞습니다.   즉, 이 두가지를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 '돼' 자리에 '되어'를 넣어봐서 말이 되면 '돼'고 말이 안되면 '되'를 쓰면 됩니다.   아니면   되 자리에 하를 넣어보고   돼 자리에 해를 넣어서 어색하지 않으면 그대로 쓰면 됩니다.   안되요는 안하요가 되니 틀린 말이고   안돼요는 안해요가 되니 맞는 말입니다.   결국 안돼요가 표준어입니다.

[인코딩] MS949부터 유니코드까지

UHC = Unified Hangul Code = 통합형 한글 코드 = ks_c_5601-1987 이는 MS사가 기존 한글 2,350자밖에 지원하지 않던 KS X 1001이라는 한국 산업 표준 문자세트를 확장해 만든 것으로, 원래 문자세트의 기존 내용은 보존한 상태로 앞뒤에 부족한 부분을 채워넣었다. (따라서 KS X 1001에 대한 하위 호환성을 가짐) 그럼, cp949는 무엇일까? cp949는 본래 코드 페이지(code page)라는 뜻이라 문자세트라 생각하기 십상이지만, 실제로는 인코딩 방식이다. 즉, MS사가 만든 "확장 완성형 한글 ( 공식명칭 ks_c_5601-1987 ) "이라는 문자세트를 인코딩하는 MS사 만의 방식인 셈이다. cp949 인코딩은 표준 인코딩이 아니라, 인터넷 상의 문자 송수신에 사용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확장 완성형 한글" 자체가 "완성형 한글"에 대한 하위 호환성을 고려해 고안됐듯, cp949는 euc-kr에 대해 (하위) 호환성을 가진다. 즉 cp949는 euc-kr을 포괄한다. 따라서, 윈도우즈에서 작성되어 cp949로 인코딩 되어있는 한글 문서들(txt, jsp 등등)은 사실, euc-kr 인코딩 방식으로 인터넷 전송이 가능하다. 아니, euc-kr로 전송해야만 한다.(UTF-8 인코딩도 있는데 이것은 엄밀히 말해서 한국어 인코딩은 아니고 전세계의 모든 문자들을 한꺼번에 인코딩하는 것이므로 euc-kr이 한국어 문자세트를 인코딩할 수 있는 유일한 방식임은 변하지 않는 사실이다.) 물론 이를 받아보는 사람도 euc-kr로 디코딩을 해야만 문자가 깨지지 않을 것이다. KS X 1001을 인코딩하는 표준 방식은 euc-kr이며 인터넷 상에서 사용 가능하며, 또한 인터넷상에서 문자를 송수신할때만 사용.(로컬하드에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인코딩방식으로는 쓰이지 않는 듯하나, *nix계열의 운영체제에서는 LANG을 euc-kr로 설정 가능하기도 한걸...

한글 인코딩의 이해 : 한글 인코딩의 역사와 유니코드, 그리고 유니코드와 Java를 이용한 한글 처리

출처 : http://helloworld.naver.com/helloworld/76650 NHN Business Platform 쇼핑서비스개발팀 오영은 분명 제대로 보이는 한글 이름의 파일을 내려받았는데 읽을 수 없는 이상한 이름으로 저장된 파일을 받아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보통 '인코딩이 깨졌다.'라고 말하는 이런 상황은 왜 발생하는 것일까요? 그 이유는 컴퓨터에서 한글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식이 있는데 해당 방식이 서로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최초로 컴퓨터가 발명되고 오랜 기간 동안 발전되어 온 지역이 미국이기에 해당 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문자 집합인 영어 알파벳과 이와 비슷한 문자 체계를 지닌 유럽어 알파벳 처리에 대한 연구가 가장 먼저 시작되었습니다. 이 외의 다른 문자 집합(character set)은 기존에 수립된 인코딩(영어 및 유럽어 문자 집합용)으로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이들을 처리하기 위한 연구가 추가로 진행되었습니다. 요즘은 어느 전자 기기에서나 한글을 제대로 입력할 수 있고 일부 소형 기기에서는 한글을 더 빠르게 입력할 수도 있어 컴퓨터에서 한글을 처리하는 작업이 너무나 쉽고 당연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글을 제대로 표현하기 위한 한글 인코딩 체계가 수립되기까지는 수십 년의 세월이 걸렸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CP949 또는 EUC-KR(둘은 엄밀히 다릅니다) 인코딩과 유니코드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글을 표현하기 위한 그간의 역사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 2편 연작으로 기획된 이 기사의 1편에서는 한글 인코딩의 역사를 다루고, 2편에서는 'Java 언어를 기준으로 한글을 처리하는 방법'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문자 집합과 인코딩 컴퓨터는 수치 연산을 위해 설계되었다. 컴퓨터 발명 초기에는 문자를 표현해야 하는 요구가 없었다. 영어 단어 'compute'는 단순히 '계산하다'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