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ubuntu] 한글 한영전화 해결책

reference: http://myubuntu.tistory.com/808

우분투 13.10 한영 전환 문제를 간편 해결책

시작하기전에 Note: 우분투 12.04 LTS에서는 아래와 다른 설정 절차를 거쳤던걸로 기억합니다.
12.04용은 따로 검색해보시는게 날것 같습니다.

1. 시스템 설정 > 언어 패키지 받기

우분투 설치 후 [시스템 설정]-[언어 지원]을 열어 추가로 받는 꾸러미를 다 받습니다. 그리고 한글을 맨 위로 끌어다 놓고 시스템 전체 적용을 합니다. 키보드 입력기는 현재 ibus일 것입니다. 여기까지 진행 후 로그아웃후 다시 로그인 합니다. 기존에 영어로 설치한 경우엔 비로소 한글로 보이기 시작할 것입니다.(애초에 설치시 언어를 한글로 선택했을시엔 해당없음)

2. 시스템 설정 > 텍스트 입력

이번에는 키보드 배치를 추가합니다. 여기서 한글 관련은 딱 두개가 나타납니다. '한국어' 와 '한국어(101/104키 호환)' 입니다. 그런데 이 둘중 무엇을 해도 한글 문제는 해결되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원하는건 '한글(Hangul)'입니다. 이것이 나타나게 하려면 nabi를 설치합니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nabi -y
이것을 설치하면 비로소 1번에서 보았던 키보드 입력기에 nabi가 추가될 것이며(이를 선택합니다) 키보드 배치에는 한글관련 세번째 항목인 '한글(Hangul)'이 생겨납니다. 이를 추가합니다.
또한 키보드 배치 전환키를 ctrl+space로 변경합니다. (한영키로 한영전환은 간략한 설명을 위해 여기서 제외합니다. go googling!) 

3. 마무으리

이 상태로 잘될 수도 있고, 로그아웃 후 다시 해보면 잘 될수도 있습니다. 이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는 심볼로 우측상한에 태극기가 뜹니다.

저는 바로 잘됐습니다만, 다른 이슈가 있더군요. 신나서 재부팅을 했더니 좌측상단위에 보일듯말듯한 희안한 창이 엉덩이 부분만 살짝 노출되던데, 버튼으로 추정되는 이상한 것을 눌렀더니 두벌식 세벌식 등등해서 10가지에 걸친 선택박스가 나타났습니다. 그리고는 한영전환이 안되더군요. 그래서 2번의 텍스트 입력으로 가보았더니 '한글(Hangul)'이 사라져있었습니다. 재부팅을 해도 마찬가지였구요.

만약 이상태가 재현된다면,,,제가 해본 방법으로 해보세요.
case1) 일단 나비를 지웁니다.
$ sudo apt-get autoremove --purge nabi
이상태로 재부팅을 하면 신기하게도 2에서처럼 한글(Hangul)이 다시 살아나기도 합니다. 이상태에서는 나비를 굳이 재설치할 필요없이 ibus입력기로 그냥 사용하시면 됩니다. (결과적으로 나비를 설치하는건 저기 한글(Hangul) (한영전환시 한글의 경우 태극기를 보여주는 장본인)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지 그 후엔 입력기는 ibus여도 상관이 없는듯 합니다. 저는 이렇게 해결이 됐어요.

case2) case1처럼 지웠는데 해결이 안되면 재설치를 하시고 재부팅하신호, 위의 1,2번 설정을 다시 시도해보세요. 뭔가 설치와 설정에서 꼬였을지 모르니 autoremove시엔 꼭 purge옵션(숙청모드, 모든 설정관련 파일까지 모조리 색출해 죽임)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default[파산]) 여기부터는 제가 모르는 영역입니다. 죄송합니다. 도와드릴 수가 없겠네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맞춤법] 안돼(o) vs 안되(x); 안돼요(o) 안되요(x); 안되지(o) vs 안돼지(x);

source:  http://k.daum.net/qna/view.html?qid=0FKVD&l_cid=Q&l_st=1 쉽게 구분하는 방법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안돼요는 안되어요가 줄어든 말입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당신이 그러면 안되지. 당신이 그러면 안돼지.   첫번째 문장이 맞고 두번째 문장이 틀립니다. 두번째 문장을 '당신이 그러면 안되어지'로 바꾸면 말이 이상하지요. '안돼지'로 쓸 수 있는 것은 '안되어지'로 쓸 수 있는 것입니다.   요즘 사업이 잘 안(돼서 되서) 죄송합니다. '돼서'와 '되서' 가운데 어떤 것이 맞을까요? 사업이 잘 '안되어서'가 말이 되니까 '안돼서'가 맞습니다.   즉, 이 두가지를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 '돼' 자리에 '되어'를 넣어봐서 말이 되면 '돼'고 말이 안되면 '되'를 쓰면 됩니다.   아니면   되 자리에 하를 넣어보고   돼 자리에 해를 넣어서 어색하지 않으면 그대로 쓰면 됩니다.   안되요는 안하요가 되니 틀린 말이고   안돼요는 안해요가 되니 맞는 말입니다.   결국 안돼요가 표준어입니다.

[인코딩] MS949부터 유니코드까지

UHC = Unified Hangul Code = 통합형 한글 코드 = ks_c_5601-1987 이는 MS사가 기존 한글 2,350자밖에 지원하지 않던 KS X 1001이라는 한국 산업 표준 문자세트를 확장해 만든 것으로, 원래 문자세트의 기존 내용은 보존한 상태로 앞뒤에 부족한 부분을 채워넣었다. (따라서 KS X 1001에 대한 하위 호환성을 가짐) 그럼, cp949는 무엇일까? cp949는 본래 코드 페이지(code page)라는 뜻이라 문자세트라 생각하기 십상이지만, 실제로는 인코딩 방식이다. 즉, MS사가 만든 "확장 완성형 한글 ( 공식명칭 ks_c_5601-1987 ) "이라는 문자세트를 인코딩하는 MS사 만의 방식인 셈이다. cp949 인코딩은 표준 인코딩이 아니라, 인터넷 상의 문자 송수신에 사용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확장 완성형 한글" 자체가 "완성형 한글"에 대한 하위 호환성을 고려해 고안됐듯, cp949는 euc-kr에 대해 (하위) 호환성을 가진다. 즉 cp949는 euc-kr을 포괄한다. 따라서, 윈도우즈에서 작성되어 cp949로 인코딩 되어있는 한글 문서들(txt, jsp 등등)은 사실, euc-kr 인코딩 방식으로 인터넷 전송이 가능하다. 아니, euc-kr로 전송해야만 한다.(UTF-8 인코딩도 있는데 이것은 엄밀히 말해서 한국어 인코딩은 아니고 전세계의 모든 문자들을 한꺼번에 인코딩하는 것이므로 euc-kr이 한국어 문자세트를 인코딩할 수 있는 유일한 방식임은 변하지 않는 사실이다.) 물론 이를 받아보는 사람도 euc-kr로 디코딩을 해야만 문자가 깨지지 않을 것이다. KS X 1001을 인코딩하는 표준 방식은 euc-kr이며 인터넷 상에서 사용 가능하며, 또한 인터넷상에서 문자를 송수신할때만 사용.(로컬하드에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인코딩방식으로는 쓰이지 않는 듯하나, *nix계열의 운영체제에서는 LANG을 euc-kr로 설정 가능하기도 한걸...

한글 인코딩의 이해 : 한글 인코딩의 역사와 유니코드, 그리고 유니코드와 Java를 이용한 한글 처리

출처 : http://helloworld.naver.com/helloworld/76650 NHN Business Platform 쇼핑서비스개발팀 오영은 분명 제대로 보이는 한글 이름의 파일을 내려받았는데 읽을 수 없는 이상한 이름으로 저장된 파일을 받아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보통 '인코딩이 깨졌다.'라고 말하는 이런 상황은 왜 발생하는 것일까요? 그 이유는 컴퓨터에서 한글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식이 있는데 해당 방식이 서로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최초로 컴퓨터가 발명되고 오랜 기간 동안 발전되어 온 지역이 미국이기에 해당 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문자 집합인 영어 알파벳과 이와 비슷한 문자 체계를 지닌 유럽어 알파벳 처리에 대한 연구가 가장 먼저 시작되었습니다. 이 외의 다른 문자 집합(character set)은 기존에 수립된 인코딩(영어 및 유럽어 문자 집합용)으로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이들을 처리하기 위한 연구가 추가로 진행되었습니다. 요즘은 어느 전자 기기에서나 한글을 제대로 입력할 수 있고 일부 소형 기기에서는 한글을 더 빠르게 입력할 수도 있어 컴퓨터에서 한글을 처리하는 작업이 너무나 쉽고 당연하게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글을 제대로 표현하기 위한 한글 인코딩 체계가 수립되기까지는 수십 년의 세월이 걸렸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CP949 또는 EUC-KR(둘은 엄밀히 다릅니다) 인코딩과 유니코드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글을 표현하기 위한 그간의 역사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 2편 연작으로 기획된 이 기사의 1편에서는 한글 인코딩의 역사를 다루고, 2편에서는 'Java 언어를 기준으로 한글을 처리하는 방법'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문자 집합과 인코딩 컴퓨터는 수치 연산을 위해 설계되었다. 컴퓨터 발명 초기에는 문자를 표현해야 하는 요구가 없었다. 영어 단어 'compute'는 단순히 '계산하다'라는 ...